3. 계정 생성
# 1. 그룹 생성 후 확인
groupadd sysmgr
groupadd -g 60000 sysmgr // Gid 문제에 있을 경우
#확인
cat /etc/group | grep sysmgr
#잘못생성할 경우 지우기
groupdel sysmgr
# 2. 사용자 생성 후 확인
useradd -G sysmgr natasha
useradd -G sysmgr harry
cat /etc/passwd | grep no
useradd -s /sbin/nologin sarah
#생성확인
cat /etc/passwd
id natasha
#잘못생성할 경우 지우기
userdel -r natasha // -r해야 홈디렉터리도 지워짐
# 3. 비번설정
echo '비번' |passwd --stdin natasha
passwd natasha
#확인
cat /etc/shadow | tail -3
4. 파일 권한 설정
# 1. 파일 복사 및 소유그룹 설정
cp /etc/fstab /var/tmp/fstab
chown root.root /var/tmp/fstab #소유자.소유그룹
chmod 664 /var/tmp/fstab
#확인
getfacl /var/tmp/fstab
# 2. 사용자별 권한 설정
setfacl -m u:natasha:rw- /var/tmp/fstab
setfacl -m u:harry:--- /var/tmp/fstab
getfacl /var/tmp/fstab
5. 자동 스케줄링 설정
systemctl is-enabled crond
systemctl status crond
crontab -u natasha -e
*/2 * * * * logger RH199 exam
# cat /etc/crontab으로 몇분어디자리확인
crontab -u natasha -l
tail -f /var/log/messages # 모니터링하기(2분)
- 로그 확인
<참고>
몇시 몇분에 실행 이런식으로도 출제됨
'Linux > RHCS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HCSA]AWS 볼륨 추가 및 LVM 구성(볼륨 관련 문제풀이 사전준비) (0) | 2024.01.11 |
---|---|
[RHCSA]autofs/사용자 계정/파일찾기/아카이브 생성 (0) | 2024.01.03 |
[RHCSA]selinux/협업 디렉토리/NTP설정 (0) | 2024.01.03 |
[RHCSA]네트워크/Hostname/Repo 설정 (0) | 2023.12.17 |
[RHCSA]RHCSA 연습환경 생성(AWS) (0) | 2023.12.17 |